서론 ( 스킵 하셔도 됨 )
최근 외주 형태로 계약한 회사에서
아무리 설득을 해도 AWS로 이전을 안하고 본인들 NAS에서 웹을 구동하길 원하더라..
문제는 내가 NAS 환경을 세팅해놓은게 아니고, 난 NAS에서 웹을 구동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니
당연히 NAS에 대해서 아는게 없었다..
대충 도메인 연결시켜주고 작업을 했는데 회원가입이 들어가있어서 SSL을 적용해줘야해서
이것저것 알아보고 SSL을 적용했던 과정을 쓰고자 한다.
작업환경 ) Synology Nas에서 WebStation에서 PHP 5.6, Apache HTTP Server 2.2 을 사용한다.
Synology DDNS 인증서도 적용되어있는 환경이다.
Web Server 설정을 이미 다 해놨고, 실제 서비스를 하고있다는 가정하에 글을 읽어야 한다.
과정
인증서 설정
Synology DDNS 인증서를 적용시켜놓은 상태라서, WebStation에서 서비스중인 홈페이지에 SSL을 적용하고 싶다.
먼저, 제어판 - 보안으로 들어간다.
그 후 인증서 탭을 누른 뒤, 인증서 탭에서 추가를 누른다.
새 인증서 추가버튼을 누르고 다음을 누른다.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Let's Encrypt에서 인증서를 얻는다.
3개월에 한번씩 갱신해주어야 하지만, 무료인 SSL 인증서이다.
그 후, 도메인 이름을 적어주고 ( ex. tistory.com)
주제 대체 이름을 적어준다.
주제 대체 이름에서 와일드카드(*)는 DDNS서버아니면 적용되지 않는다.
그래서 여러개를 적어준다.
(ex. www.tistory.com;tistory.com )
WebStation 설정
그 후 적용을 누른 뒤, 바탕화면의 WebStation을 누른다.
누른 뒤, 가상호스트 탭으로 이동한다.
아무것도 없는게 정상이고, 있다면 편집, 없다면 생성을 눌러주자.
호스트 이름은 구매한 도메인,
문서루트는 통상 /web으로 설정되어있을 것이다. /web으로 설정.
백엔드 서버와 PHP서버는 현재 사용중인 것을 선택한다.
다 기입했으면 확인 버튼을 누른다.
다시 인증서 설정
다시 제어판 - 보안 - 인증서로 돌아와서 구성을 눌러준다.
아까 추가한 호스트에 아까 만든 인증서를 할당하면 끝!
'서버(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fatal: unsafe repository 에러 해결법 (0) | 2022.04.18 |
---|---|
마리아DB(Maria DB) 외부접속 허용법 우분투(ubuntu) 18.04 (0) | 2020.02.26 |
Apache(아파치)서버 유저별 디렉터리 설정법 (0) | 2020.02.26 |
아파치(apache) 톰캣(Tomcat) 설정법(JSP, Servlet 사용 전) (0) | 2019.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