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개인적으로 따로 세팅할 일이 생길까봐 포스팅을 하기로 마음 먹었다.
요새 자바 개발하느라 바빠서 블로그에 포스팅을 많이 못했는데 시간날 때 마다 한번씩 하기로 했다.
사전에 이클립스를 다운받았다는 가정 하에 아파치 톰캣 설치부터 진행한다.
일단 아파치 홈페이지에서 톰캣을 다운로드 받는다.
이클립스를 켜서 Window -> Show View -> Other 을 눌러준다.
Other를 눌렀다면 여러 탭이 나올텐데, 아래로 내리면 Server 폴더가 있고 눌러보면 또 Server가 있다.
Server를 눌러주면 된다.
나는 사전에 이미 아래쪽에 Servers 탭을 꺼내놨다. 아래에 Servers라는 탭이 보이기만 하면된다.
이 탭 꺼내려고 여태 3장이나 되는 사진을 게시했다.
저 파란글씨를 눌러서 새 서버를 지정해주면 된다.
우린 톰캣을 가지고 있으니 맞는 버전을 선택하면 된다.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는데, 일단 세팅은, JRE에서 JDK로 바꿔준다(추후에 JRE로 바꿀것)
톰캣이 설치된 경로를 지정해달라고하는데, Browse버튼을 눌러 톰캣의 루트 디렉토리를 선택해주면 된다.
이렇게 설정 한 후 Finish를 눌러주면 된다.
눌러주면 아까 파란글씨가 톰캣 서버글씨로 바뀐다.
더블클릭을 눌러보면
기본적인 apache-tomcat 서버 Configuration을 볼 수 있다.
여기서 Use Tomcat installation으로 바꿔주고, Publish module contexts to separate xml file을 눌러준다.
그리고 우측 서버포트는 HTTP/1.1 포트를 선택해준다.
다 했으면 Ctrl + S로 저장하면 된다.(맥은 Command + S)
나같은 경우엔 시작을 누르니 8080 포트를 이미 SQL이 점거해서 사용할 수 없다고 에러가 뜨는데, 이는 추후에 해결해야한다.
여기까지가 JSP, Servlet을 사용하기 전 아파치 톰캣을 세팅하는 과정이다.
'서버(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fatal: unsafe repository 에러 해결법 (0) | 2022.04.18 |
---|---|
Synology WebStation에 SSL(HTTPS) 활성화하기 (0) | 2021.02.16 |
마리아DB(Maria DB) 외부접속 허용법 우분투(ubuntu) 18.04 (0) | 2020.02.26 |
Apache(아파치)서버 유저별 디렉터리 설정법 (0) | 2020.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