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버 환경
우분투(ubuntu) 18.04
MariaDB : v15.1 (10.1.44)
제일 먼저 확인해야 할 것!
지금 DB 서버가 외부 접속을 허용하는 지 확인을 해보아야한다.
netsat -tnlp 명령어로 해당하는 포트(3306은 마리아DB와 MySQL 서버의 Default 포트이다.)
가 외부접속을 허용하는지 확인한다.
처음에는 127.0.0.1:3306으로 외부접속을 허용하지 않는 형태로 나올 것이다.(필자는 허용한 상태라 :::3306이다.)
만약 로컬 접속만 허용하는 포트라면 수정이 필요하다.
/etc/mysql/mariadb.conf.d 디렉터리로 이동한다.
여기서 50-server.cnf 파일을 수정해야한다.
여기서 bind-address부분을 주석처리 하거나 0.0.0.0을 주거나
DB서버 데몬을 다시 시작하면 된다.(service restart mysql)
이 이후 Heid 같은 클라이언트 툴로도 잘 접속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반응형
'서버(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fatal: unsafe repository 에러 해결법 (0) | 2022.04.18 |
---|---|
Synology WebStation에 SSL(HTTPS) 활성화하기 (0) | 2021.02.16 |
Apache(아파치)서버 유저별 디렉터리 설정법 (0) | 2020.02.26 |
아파치(apache) 톰캣(Tomcat) 설정법(JSP, Servlet 사용 전) (0) | 2019.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