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 2회 기출 리뷰 (2020.06.06)
2. C언어 비트 논리 연산
- &, ^, |, ~, <<, >>
3. 프로토콜
HTTP/FTP/SMTP ---> 응용계층에서 동작
TCP ---> 전송 계층에서 동작
4. 시스템에서 모듈 사이의 결합도(Coupling)
- 모듈 외에 있는 처리요소들 사이의 기능적인 연관정도
- 결합도가 강할수록 품질이 낮음
- 모듈간 결합도 약하게 하면 모듈 독립성 향상
5. 교착상태의 해결 방법
Prevention(예방) : 교착상태의 원인이 되는 조건 중 하나를 제거
- 상호배제
- 점유와 대기
- 비선점
- 환형 대기
Avoidance(회피) : 은행가 알고리즘
Detection(탐지) : 자원 할당 그래프
Recovery(복구) : 자원 선점 / 프로세스 종료
6. 쉘(Shell)
- 명령어 해석기
- 시스템과 사용자간 인터페이스 담당
- 여러 종류의 쉘
8. OSI 7
응용 : 사용자가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
표현 : 응용계층으로 받은 데이터를 세션 계층에 보내기 전에 통신에 적당한 형태로 변환, 세션계층
세션 : 송 수신 측 간의 관련성 유지, 대화 제어 담당
전송 : 논리적 안정 및 균일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제공, 종단 시스템 간 투명한 데이터 전송 (오류 검출과 복구, 흐름제어 수행)
네트워크 : 개방 시스템 간 네트워크 연결 관리 및 데이터 교환 및 중계
데이터링크 : 두 개 개방 시스템 간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
물리 :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9. IPv6 주소체계
- 패킷 크기는 임의로 큰 크기의 패킷을 주고 받을 수 있다.
- 인증 및 보안 기능 포함
- IPv6 확장 헤더를 통해 네트워크 기능 확장 용이
- Unicast, Multicast, Anycast
IPv4
- 패킷 크기가 64KByte로 제한
- Unicast, Multicast, Broadcast (Anycast말고 Broadcast)
10. 프로토콜(Protocol)
- TCP : 양방향 연결형 서비스제공 / 가상 회선 연결 형태의 서비스 제공 / 스트릿 위주 패킷 전달
- UDP : 비연결형 서비스 제공 / 실시간 전송 네트워크에서 사용
- ARP : IP 주소를 MAC Address로 변환 (논리 주소 -> 물리 주소)
- ICMP : IP와 조합하여 통신 중에 발생하는 오류처리와 전송 경로 변경 등을 제어 메시지를 관리
- IGMP : 멀티캐스트를 지원하는 호스트나 라우터 사이에서 멀티캐스트 그룹 유지를 위해 사용
11. 프로세스 상태 종류
- 보류(pending)
- 준비(ready)
- 실행(Run)
- 대기(Blocked, Wait)
- 교착(Deadlock)
- 종료(Terminated, Exit)
- 제출(Submit)
13. HRN(Highest Response-ratio Next) 스케줄링
- 비선점 스케줄링
- SJF 보완
- 대기시간 및 서비스 시간 이용
- 우선 순위 높은것부터 낮은 거
- 대기시간 + 서비스시간 / 서비스시간 = 우선 순위값
19. 응집도
응집도 강한게 좋은거
응집도 강함 <--- ---> 응집도 약함
기능적(Functional) -> 순차적(Sequential) -> 교환적(Communication) ->
절차적(Procedural) -> 시간적(Temporal) -> 논리적(Logical) -> 우연적(Coincidental)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1, 2회 정보처리기사 필기 5과목(정보시스템 구축관리) 문제 정리 (0) | 2021.03.07 |
---|---|
2020년 1, 2회 정보처리기사 필기 3과목(데이터베이스 구축) 문제 정리 (0) | 2021.03.07 |
2020년 1, 2회 정보처리기사 필기 2과목(소프트웨어 개발) 문제 정리 (0) | 2021.03.06 |
2020년 1, 2회 정보처리기사 필기 1과목(소프트웨어 설계) 문제 정리 (0) | 2021.03.06 |
2020년 03회 정보처리기사 필기 5과목(정보시스템 구축관리) 문제 정리 (0) | 2021.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