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네덜란드의 유명한 컴퓨터과학자인 다익스트라(알고리즘으로 유명한 그 사람맞다)가 고안해낸 방법이다.
수학에서 수의 구간을 표현하는 방법은 4가지가 존재한다.
1. 열린 구간
2. 닫힌 구간
3. 반열린 구간
4. 반닫힌 구간
시작은 닫힌 구간, 끝은 열린구간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고 이야기 했다.
ex ) 2 <= n < 13
시작과 끝의 간격은 전체요소의 개수와 일치하는 것이 좋다는 얘기다.
2와 12사이의 숫자는 총 11개인데 이걸 일치시키는 것이 표현하기 쉽다는 것이다!
다익스트라의 말에 의하면 그렇단다
반응형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린스턴 대학교 코세라 알고리즘 1 (0) | 2020.03.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