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lan Andrew
Kaminion
Declan Andrew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83)
    • 잡담 (1)
    • AI (0)
      • 논문 리뷰 (0)
    • 유니티 (1)
    • C (2)
    • Java (11)
    • 서버(Server) (10)
      • PHP (1)
      • DevOps (4)
    • JavaScript (12)
      • Node.js (1)
      • React.js (6)
    • 프론트엔드 (1)
    • 안드로이드 (2)
    •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2)
    • 통계 (0)
      • 중학 통계 (0)
      • 고등 통계 (0)
      • 대학 통계 (0)
    • 컴퓨터과학 (19)
      • 디지털 논리회로 (6)
      • 인공지능 (3)
      • 데이터베이스 (3)
      • 정보통신망(네트워크) (4)
      • 프로그래밍 언어론 (0)
      • 운영체제 (3)
    • 수학 (8)
      • 기초 수학 (5)
      • 공학 수학 (3)
      • 게임 수학 (0)
    • 자격증 (12)
      • AWS (3)
      • 정보처리기사 (9)
    • 빅데이터 (1)
      • 이론 (0)
      • 실습 (0)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글쓰기
  • 티스토리로이동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리액트
  • OS
  • React
  • Ai
  • js
  • 기사
  • 프로그래머
  • 논리회로
  • 데이터베이스
  • react-native
  • 자격증
  • java
  • 자바스크립트
  • 개발
  • Q-net
  • JavaScript
  • 수학
  • qnet
  • 프로그래밍
  • 자바
  • 파이썬
  • 큐넷
  • 정보처리기사
  • DB
  • Database
  • Programming
  • 인공지능
  • 리눅스
  • array
  • 정처기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Declan Andrew

Kaminion

1장 컴퓨터 통신망 소개
컴퓨터과학/정보통신망(네트워크)

1장 컴퓨터 통신망 소개

2019. 3. 27. 15:37
반응형

1. 컴퓨터 통신망의 출현

출현 배경 - 앨빈 토플러 제3의 물결 : 인류는 정보 사회에 진입

정보 사회는 인간이 생존하기 위하여 신속 및 정확한 정보를 요구


컴퓨터는 정보혁명의 기폭제, 전자식 자료처리 시스템(EDPS : Eectronic Data Processing System)으로 정의됨

컴퓨터 자원(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정보 등)을 공유하려는 이유에서 컴퓨터 통신망이 출현하게 됨.


데이터 처리 기술과 데이터 통신 기술

데이터 처리에 있어 통신기술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서로 떨어져 있는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라면 통신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분산 시스템

컴퓨터 자원을 공유하고 확장과 축소를 용이하도록 하며 오류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컴퓨터 자원을 분산시켜 작업을 처리하는 시스템을 분산 시스템이라고 한다.

분산 시스템은 컴퓨터 통신망보다 넓은 의미를 가지며 컴퓨터 통신망을 포함한다.

분산 시스템은 컴퓨터(또는 처리기)를 얼마나 분산시켰는가에 따라 강연결(tightly-coupled)과 약연결(loosely coupled) 분산 시스템으로 나뉜다.

위 표는 거리에 따른 분산 시스템의 분류이며, 얼마나 긴밀한 상호작용을 하는가에 따라 나뉘어져 있다.

자료흐름기계와 멀티프로세서 시스템과 같이 분산된 거리가 짧고 처리기 사이의 상호 작용이 많은 분산 시스템을 강 연결 분산 시스템이라고 하고

분산된 거리가 비교적 길고 처리기 사이의 상호 작용이 비교적 적은 분산 시스템은 약 연결 분산 시스템이라고 한다.

우리가 다루는 컴퓨터 통신망은 약연결 분산 시스템이 되며, 여기에는 LAN, MAN, WAN 등이 있다.


넓은 의미에서 통신(communication)이란 거리상 서로 떨어진 사람 또는 장치들 사이에 여러 종류의 매개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그러나 좁은 의미에서 통신은 원격통신(telecommunication)을 의미하는데, 

원격통신이란 전자적 신호나 전자기적 파장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데이터 통신(data communication)은 '기계에 의해 처리되는 정보의 전송'을 뜻하는데 즉,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 결합된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통상 데이터 통신망(data communication network)이라는 용어는 데이터 통신 기술과 망 기술이 융합된 개념으로 더 많이 사용된다.

이는 통신쪽에 더 무게를 둬서 말하는 것이고, 컴퓨터 통신망에서는 컴퓨터 쪽에 무게를 두고 말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컴퓨터 통신망의 구성요소

구성요소 

 설명

서버(server) 

 컴퓨터 통신망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컴퓨터

예) file server, print servers, mail servers, communication servers, database servers, web servers 등

 클라이언트(client)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컴퓨터 또는 단말(terminal)

클라이언트는 기본적으로 망의 사용자로서 서버에게 서비스를 요청하고 받는다. 

 전송 매체

(transmission media)

컴퓨터 통신망에서 서버 및 클라이언트를 상호 연결시키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

전송 매체는 꼬임선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등과 같은 유선 매체와 마이크로파, 라디오파 등과 같은 무선 매체로 나뉜다. 

 네트워킹 장치

(networking device)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컴퓨터 통신망에 연결시키기 위해 필요한 연결 장치.

예) 허브, 스위치, 브리지, 라우터, 게이트웨이, NIC(Network Interface Card), 모뎀 등

 프로토콜(Protocol)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통신하기 위해 미리 정해 놓은 규칙.

통신 프로토콜은 통신 개체가 무엇을, 언제, 어떻게 송신하고 수신할 것인지를 다룬다.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또는 그것을 위한 프로그램 


전송매체와 네트워킹 장치, 프로토콜 등은 뒤에서 더 다룰 예정이다.



2. 컴퓨터 통신망의 역사

통신은 봉화를 이용한 의미의 전달이나 인편을 이용한 서신교환에서부터 발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전기적 방식에 의한 데이터 통신의 역사는 1844년 모스(Samuel Morse)에 의해 시작되었다.

모스는 전기선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고안하여 전보를 타전하였고

그 후 1876년 벨은 전화기를 발명하였다.


본격적인 컴퓨터 통신망의 역사를 시간순서대로 개략적으로 설명하게 될 것이다. 시간 순서 그대로 보면 된다.


컴퓨터 통신망의 역사로 보자면 1940년 9월 9일 수학자 스티비츠(Geroge Stibitz)는 복소수 계산기라고 불리는 컴퓨터를 제작하여 문제를 풀었는데,

코드화된 데이터가 통신회선을 통해 전송되어 계산기로 처리된 최초의 사건으로 평가된다.


1958년 미국에서 SAGE(Semi-Automatic Ground Environment)시스템을 개발하였는데, 이 시스템은 네트워크 장비들이 컴퓨터와 통신을 결합시킨

최초의 컴퓨터 통신 시스템으로 평가받고 있다. (군사목적으로 개발되었다.)


1960년 대 중반에  미국 국방성 산하의 고등연구 계획국(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 ARPA)에서 인터넷의 전신 ARPANET이 개발되었다.

처음엔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되었지만 민간에 기술이 이전이 되었다.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이라는 데이터 교환 방식과 TCP/IP(Transport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이라는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된

최초의 컴퓨터 통신망이다.

ARPANET은 80년대에 다시 설명이 나오게 된다.


1964년에 군사목적의 SAGE 시스템을 응용하여 여객기의 좌석 예약과 회사업무를 종합적으로 처리하는(상업 목적) 

SABRE(Semi-Automatic Bussiness Research Environment)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1968년 하와이 대학에서는 ALOHA(Additive Links Online Hawaii Area) 시스템은 ARPANET과는 달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개발된 최초의 무선

패킷 교환 방식을 적용한 컴퓨터 통신이다.


1974년 미국의 Telenet은 최초의 대중화된 패킷 교환 컴퓨터 통신망이다. 1983년 이전의 ARPANET이 일반인을 위해 사용되지 않았으므로 

일반인들에게도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를 개시하게 되었다고 한다.


1983년에 ARPANET은 대중을 위한 ARPANET으로 분할되고 1995년 분할된 이후 인터넷(the Internet)으로 이름이 변경된다.



컴퓨터 통신망의 활용목적

중앙집중형 시스템에서 다음과 같은 이유들로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1. 자원의 공유 : 분산시스템의 핵심이다.

2. 신뢰도의 향상 : 한대의 컴퓨터가 고장으로 정지하더라도 다른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혀 일을 수행하지 못하는 심각한 상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3. 처리기능의 분산 : 자료가 수집된 장소(서버급)에서 처리되고, 요약된 정보만 중앙의 대형 컴퓨터(슈퍼컴)에 보내져 통합 처리된다.

분산함시킴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처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전성 보장과 호환성이 확대된다는 목적도 있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기종간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글이 덜 작성된 채로 오래 방치되었는데. 다음에는 데이터 통신부터 상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컴퓨터과학 > 정보통신망(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데이터 통신의 기초  (0) 2019.04.22
1.2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프로토콜  (0) 2019.04.10
정보통신망 개관  (0) 2019.03.16
    '컴퓨터과학/정보통신망(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 데이터 통신의 기초
    • 1.2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프로토콜
    • 정보통신망 개관
    Declan Andrew
    Declan Andrew
    궁금한 점은 메일 주세요. jwsoft0529@gmail.com 블로그 확인 잘 안합니다.

    티스토리툴바